제 1강 정체 불명의 근본주의



여기 저기서 근본주의라는 말이 들려오고 있다. 

그런데 도대체 근본주의가 정확히 뭔지 아는 이가 없다. 

근본주의가 생겨난 때는 100년도 넘지만 

근본주의는 아직도 우리 주변에 생생히 살아 있다.


*알려드립니다. 배덕만 교수님의 소속은 기독연구원 느헤미야입니다.





제 2강 근본주의의 탄생 배경



근본주의는 19세기 미국에서 탄생했다.
근본주의를 이해하려면 19세기 미국의 역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근본주의는 1800년내 미국이 겪었던 몇 가지 위기들, 
예컨대 남북 전쟁, 도시화와 산업화의 부작용, 근대성(Moderiniyty)의 범람과 
이민 정책이 초래한 도덕적 위기 등과 같은 배경에 의해 출현하게 되었다.





제 3강 근본주의를 형성한 세 그룹


근본주의는 성격이 다른 몇 개의 이질적인 집단이 모여 만들어졌다. 
19세기 미국에서 근본주의를 형성한 세 그룹, 
프린스턴 신학교, 세대주의자, 성결운동 그룹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제 4강 프린스턴 신학과 근본주의


근본주의는 이질적인 성격의 여러 집단이 모여서 만들어진 만큼 다양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한 가지 공통된 입장이 존재하는데, 그것은 바로 '성서무오'이다.
성서무오론은 구프린스턴 신학자들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제 5강 근본주의의 실패:
스콥스 재판과 프린스턴의 분열



근본주의자들은 성경에 대한 확고한 신앙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들에게 있어서 성서에 대한 충성은 과학적 증거들조차 무시하는 맹신에 가까웠다. 
이러한 시대착오적 특성은 스콥스 재판을 통해서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근본주의는 큰 좌절을 겪고 공적 영역에서 철수한다.




제 6강 근본주의의 변신:
신복음주의, 그리고 반공주의


스콥스 재판 이후, 근본주의는 크게 위축되면서 새로운 움직임이 감지된다. 
첫 번째는 근본주의 1세대 자녀들 중에 보다 온건한 입장으로 선회하는 
신복음주의자들이 출현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공산 세력의 강력한 확장에 맞서 강력하게 반공을 주장하는 
반공주의자들이 생겨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제 7강 뉴라이트로 돌아온 근본주의


1940년대 이후 공적 영역에서 철수했던 근본주의가 
기독교 우파라는 정치 세력(일명 뉴라이트)으로 화려하게 귀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근본주의 정치 세력은 한국의 뉴라이트 운동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화질은 유튜브 화면 내 하단의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을 클릭하시면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제 8강 초기 한국 교회의 근본주의



초기 한국 교회는 미국 선교사들로부터 압도적인 영향을 받는다. 

19세기 말, 한국 교회 형성에 영향을 미친 구미 선교사들의 근본주의적 영향력과 

1945년 이 전의 근본주의의 모습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 9강 한국 교회의 근본주의 논쟁



1930년대를 전후로, 한국 교회의 신학은 상당히 업그레이드된다. 
더불어서 진보적 신학자들이 생겨나게 되고, 
그와 함께 근본주의 신학자들과 논쟁이 발생하게 되는데....




제 10강 한국 교회의 
신학적 근본주의와 시대착오


1945년을 전후로, 한국 교회의 근본주의가 변화된다. 
그 이전에는 신학적 근본주의만의 문제였으나, 
해방 이후부터는 정치&경제적인 문제들과 결부되어 
새로운 형태의 근본주의가 탄생하게 된다. 
그러한 근본주의가 어떠한 문제를 만들어 내는지 알아본다.




제 11강 한국 교회의 
바리새적 윤리적 근본주의


한국 교회의 신학적 근본주의는 윤리적 근본주의를 낳는다. 
윤리적 근본주의는 술담배의 문제,  낙태, 동성애, 줄기세포 연구 문제, 
그리고 여성관 등에서 대단히 보수적이다. 
이러한 한국 교회의 보수적 관점의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 12강 한국 교회의 
정치적 근본주의와 이념화


해방 후, 약 10여만 명의 북한 기독교인이 남한으로 내려오게 되고, 
이들 월남자들에 의해서 남한 기독교가 재건되었던 탓에 
남한의 교회는 무엇보다도 반공을 앞세우게 된다. 
더불어 친미와 친자본주의적 성향을 보이게 되면서 
한국 교회는 마치 국가 종교와 비슷한 방식으로 이념화된다.




제 13강 또라이 집단이 된 한국 교회, 
어떻게 할 것인가?


초기 한국 기독교는 그야 말로 극소수였으며, 마이너리티였다. 
그런 상황에서 전투적 신앙은 생존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이었다. 
하지만 현재 기독교는 이미 다수가 되었고, 주류에 편입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사회는 다원화된 사회다. 
이런 사회에서 근본주의를 유지하는 것은 교회를 또라이 집단으로 만들 수 있다. 
21세기 한국 교회는 어떤 모습을 취해야 할 것인가?






*화질은 유튜브 화면 내 하단의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을 클릭하시면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